네이버 블로그에 유튜브 링크를 복사해서 걸어도 괜찮을까?
[요약]
1. 링크의 종류에는 내부링크와 외부링크가 있다
2. 외부링크를 걸 때 주의 해야 하는데
외부링크 키워드를 확인하고 글 주제와 일맥상통하면 걸어도 상관없다
3. 확인 방법은 아래 참고
[참고 유튜브]
블로그 링크걸기 저품질 되는 이유, 안전하게 쿠팡파트너스 링크거는법
김이사TV님 참고
00:10
지난 영상 이어서 링크는 안 좋다고 얘기하는데 링크가 안 좋은 이유가 있어요. 링크는 진짜 조심해서 걸어야 되는데 제가 기초 강의에서는 링크는 그냥 다 걸으라고 그래요. 괜찮으니까 그런데 가끔 쿠팡 파트너스를 하거나 그리고 제휴링크 걸 때 되게 주의해야 되고 링크 거는 방법도 따로 있으니까 이 링크는 영상 잘 보시고 좀 유의 깊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네이버 블로그 링크 걸기 - 내부 링크
00:35
일단 링크 다실 때 우리가 어떻게 다냐면 보통 우리가 주로 많이 거는 링크가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 네이버 안의 링크가 있고요. 그다음에 네이버 밖의 링크가 있어요. 네이버 안의 링크는 당연히 뭐 블로그, 카페, 네이버뉴스, 뉴스, 그다음에 뭐 포스트가 될 수도 있고 뭐 지식인 뭐가 될 수도 있고 지식백과가 될 수도 있고 뭐 굉장히 다양해요. 네이버 안의 링크는요. 네이버가 그 모든 링크에 대해서 어떤 글인지 어떤 키워드인지 다 나와요. 다 나오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내가 어떤 글을 썼는데 내 글에 대한 주제가 키워드에 다 나와 있잖아요. 그 키워드와 이 링크가 거의 동일하거나 흡사하면 그냥 플러스 점수를 다 줘요. 무조건 좋다 하는 거예요. 링크는 웬만해서는 걸면 좋다. 그리고 내용이 비슷하면 비슷할수록 좋은 거예요. 키워드가 완벽히 똑같으면 제일 좋겠지만. 그래서 우리가 링크 걸 때 예를 들면 제주도, 제주시청 뭐 이런 걸 만약에 글을 썼다고 칠게요. 그러면 제주시청에 대한 링크를 걸 수도 있는데 가장 확실한 게 어디냐면 제주시청 홈페이지가 가장 확실하잖아요. 누가 봐도. 근데 뭐 이거는 어쨌든 네이버 링크는 아니에요. 네이버 링크 중에서 가장 확실한 거 지식백과. 지식백과 가서 제주시청 가시면요. 네이버 지식백과 안에 있는 거니까 이건 괜찮아요. 공유 눌러서 링크에 복사하면요. 이게 네이버에서 가장 확실하게 100% 정확한 정보예요. 맞죠? 네이버에서는. 그래서 아까 그 글에 제주시청에 여기다가 글 안에 링크를 넣어 가지고 이렇게 넣어도 되고요. 글 안에 링크가 들어갔잖아요. 이렇게 링크를 넣으셔도 되고요. 아니면 그냥 여기다가 붙여놓고 도포기 눌러 가지고 제주시청을 넣으셔도 된다는 얘기예요. 이렇게 링크를 넣으시면 내 글 안에 있는 이 글과 그리고 내 블로그 주제와 그리고 여기 링크가 같은 내용이잖아요. 맥락상 같다. 그러면 점수가 플러스로 되는 거예요. 그게 좋은 거죠.
네이버 블로그 링크 걸기 - 외부 링크
02:45
근데 엉뚱하게 링크가 전혀 뜬금없는 다른 링크로 가버리면 백링크로 해가지고 다른 데로 가버린다거나 리다이렉트로 해가지고 막 다른 이상한 낚시성 그런 걸로 가버린다거나 아니면 페이지 없다고 나오는 그런 링크가 걸려버리면 그거는 마이너스예요. 그래서 링크를 걸 때 조심해야 되는 게 내가 거는 링크가 이 주제가 맞는지 그런 것들을 확인하셔야 되는데 네이버 안에 있는 블로그라든지 카페라든지 이런 것들은 저희가 대충 보면 알잖아요. 뭔지. 그런데 네이버 밖에 있는 링크가 좀 유의 깊게 넣으셔야 되는 거예요. 아까 이 제주시청 같은 경우는 전혀 문제가 없어요. 제주시청 그 홈페이지를 넣으면 전혀 문제가 안 되거든요. 왜냐하면 여기 홈페이지의 제목이 제주시청이었으니까 전혀 문제가 안 되는데
유튜브 링크 걸기 괜찮을까?
03:37
문제가 되는 경우가 크게 우리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첫 번째는 유튜브. 우리가 유튜브 링크 많이 넣잖아요. 네이버는요. 유튜브 동영상 넣으면 싫어한다? 이거 루머예요. 유튜브 동영상을 넣어서 싫어하는 게 아니라요. 엉뚱한 링크를 넣어서 싫어하는 거예요. 내가 분명히 제주시청에 관련된 글을 썼는데 전혀 엉뚱한 게 걸려버리면 그건 안 좋은 거예요. 근데 이게 제주시청에 관련된 글인지 아닌지 어떻게 아냐고요. 그죠? 그래서 만약에 이 제목이 제주시청이라고 되잖아요. 예를 들어가 보면 이렇게 일단 영상이 있다고 칠게요. 이게 제주 영상이 있어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인스팩트 검사'라고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요. 아니면 f12를 눌리면 이런 식으로 태그를 볼 수 있게 나와 있거든요. 그러면 좀 내려가셔서 여기서 '컨트롤 f'를 누르면 이렇게 검색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어요. 여기서 뭘 검색하냐면 영어로 키워드라고 검색을 해 보시면요. 여러분 분명히 얘는 제목에 제주시청, 제주 뭐 이렇게 제주 술집 이렇게 올렸는데 키워드는 동영상 공유 카메라폰 동영상 무료로 이렇게 되어 있어요. 네이버는 이 제목도 보지만 주로 다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이 동영상 공유 카메라폰 이렇게 생각한단 말이에요. 이 링크의 주제는 동영상 공유 카메라폰도 이거라고 생각한단 말이에요. 그래서 굉장히 안 좋을 수 있는 이유가 우리가 생각한 주제랑 네이버가 보는 주제가 다르기 때문에 그래서 안 좋을 수 있다는 거예요. 이해되시나요?
쿠팡 링크 걸기 괜찮을까?
05:23
그래서 만약에 쿠팡을 보면요. 쿠팡은 이제 보통 이런 식으로 안 나와요. 쿠팡은 텍스트 기반이 아니고 이미지로 상세 페이지를 만드니까 한번 쿠팡 볼게요. 만약에 쿠팡 링크를 넣는 제휴마케팅을 하잖아요. 쿠팡 파트너스 하실 때 사람들이 굉장히 오해하는 게 쿠팡 파트너스 링크 걸면 무조건 저품질 이렇게 하는데 링크 걸면 무조건 저품질이 아니라 이 링크 안에 어떤 메타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지 그걸 안 보시고 하시기 때문이에요. 거기까지 보면서 하는 사람이 별로 없죠. 근데 어쨌든 사실 쿠팡 같은 경우는 제가 쿠팡 영상 찍을 때 그때 자세히 알려드리겠지만 쿠팡은 그냥 네이버로 안 하시는 게 좋긴 한데 어쨌든 똑같습니다. 똑같습니다. 일단 이렇게 들어왔어요. 들어오고 난 뒤에 오른쪽 버튼 클릭해서 '인스팩트 검사'를 누르시거나 F12를 누르시면 이렇게 뜬다 그랬어요. 그리고 컨트롤 F 찾기를 눌러가지고 여기서 키워드를 찾아야 되는데 아마 없을 거예요. 키워드가 아마 없을 거예요. 거의 안 나올 겁니다. 여기 있긴 하네요. 근데 키워드 아까처럼 안 나오죠. 왜냐하면 얘들은 다 그냥 텍스트로 올리는 게 아니라 이미지로 올리기 때문에 그래요. 그래서 뭘 검색을 해보셔야 되냐면 메타 값을 보시면 되는데 메타가 9개가 나오는데 내려가면요. 여기 보시면 타이틀 밑에 메타 값을 보면 'property프로퍼티'를 보시면 여기에 이게 그거예요. 메타 값이 이게 타이틀이면서 얘가 네이버에서 볼 수 있는 메타 값인 거예요. 한스웰. 이게 제목이죠. 여기가 이제 쿠팡 같은 경우는 제목을 잘 보면 되는데 제목이 거의 텍스트로 들어가니까 이거를 본다는 거예요. 제가 만약에 네이버 블로그 글에 이 '한스웰 시치미 데일리 물티슈 순환 도톰한 엠보싱 대용량의 캡형' 이런 느낌의 키워드를 써서 내 블로그 글 주제가 이런 걸로 잡혀 있다면 이걸 올려도 전혀 문제가 안 돼요. 이해되시나요?
링크 = 주제 키워드와 일맥상통하는지가 중요
07:52
그런 식으로 내 블로그 글의 주제 키워드가 내가 걸 링크의 주제와 일맥상통하느냐 그거를 보시고 링크를 거시는 거지 링크 걸면 무조건 안 좋다? 링크 걸면 무조건 점수받는다? 그건 아니라는 거죠. 어떤 링크를 걸고 어떻게 거는 거에 따라 달라져요. 링크를 잘 거는 방식은 안정적으로 링크를 걸어 주시면 돼요. 가장 좋게는 이렇게 글자에다가 걸고 웬만해서는 링크를 걸 때 네이버 지식백과 이런 데다가 검색을 하셔가지고 그대로 갖다 붙이면 글에 점수가 붙습니다. 링크 점수가. 이렇게 하시는 게 가장 안정적이에요. 내가 반드시 외부 링크를 갖고 와야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잖아요. 참고 자료로 유튜브를 갖고 와야 된다 그러면 그 메타값 확인하시고 아까 제가 알려드린 거 확인하시고 내 블로그 주제와 일맥상통하느냐 보시고 거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그냥 엉뚱하게 거시면 내 글이 점수가 깎여서 상위 노출이 안될 수 있거든요. 그런 부분들도 확인하시고 링크를 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온라인 비지니스 - 블로그 > 네이버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블로그 해시 태그, 샵 태그 다는 방법 (0) | 2024.04.11 |
---|---|
네이버 블로그 상위 노출 로직 (키워드 최적화, 글자수 세기) (1) | 2024.04.09 |
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해시태그 (샵 태그) 해야할까? 방법까지 (2) | 2024.04.07 |